•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2년 05월11일 국내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2-05-10 [22:41] count : 178
지난 밤에도 주요 연준 인사들은 50bp 인상만으로 적절하며 그 과정에서 과거 80년대 폴 볼커 의장 재임시절에 겪었던 침체가 재연될 가능성을 일축하는 등 연준에 대한 오해와 불신을 완화시키면서 사태 진화에 나서려는 모습. 10 일 바이든 대통령이 대국민 연설을 통해 중국산 제품 수입관세 인하를 검토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현재 정부 차원에서도 인플레이션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상황.

그러나 전 거래일 미국 증시의 장중 변동성이 큰 폭 확대되는 흐름을 내내 이어갔다는 점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이, 현재 시장에서는 바이든이나 연준의 말보다는 실제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확인해 나가면서 대응하려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것으로 판단. 또 과거 ‘15~’18 년 인상 사이클 때와 달리 인플레이션 레벨 체도 높고 공급 사이드의 물가 압력도 발생한 상황이므로, 연준 과거보다 한층 더 후행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보임. 10 일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가 “하반기에도 인플레이션이 내려가지 않을 시 75bp 인상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던 것도 같은 맥락.

결국 인플레이션이 언제 피크아웃 할지, 피크아웃 이후 레벨 자체가 어느 정도까지 내려갈 수 있을지가 연준의 통화 정책 경로와 증시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 일단 금일 밤에 발표 예정인 미국의 4 월 소비자물가(예상 8.1%YoY)는 전월(8.5%)에 비해 증가율이 둔화될 것으로 컨센서스가 형성된 상황. 그러나 시장참여자들 사이에서 피크아웃 기대감이 형성되는지 관건이며, 이와 관련해 해당 지표 발표 이후 주식시장의 움직임 뿐만 아니라 기대인플레이션 변화에 주목해볼 필요.

금일 국내 증시도 미국 증시의 폭락세 진정 속 최근 주가 급락에 따른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반등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 다만, 장중 발표 예정인 중국의 4 월 생산자물가(7.8%YoY, 예상 8.3%)와 장 마감 후 미국의 4 월 물가 결과를 둘러싼 관망심리는 짙을 것으로 판단. 이를 감안 시 전반적인 증시의 반등 탄력은 제한적인 채 개별 실적 이슈에 따른 업종 및 종목간 차별화된 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51 2021년 01월27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01-27 248
550 2021년 01월2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01-26 218
549 2021년 01월26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01-26 208
548 2021년 01월25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01-25 148
547 2021년 01월22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01-21 160
546 2021년 01월2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01-21 167
545 2021년 01월21일 국내시장 시황 선투자정보 2021-01-20 160
544 2021년 01월21일 해외시장 시황 선투자정보 2021-01-20 186
543 2020년 05월15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4 256
542 2020년 05월1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4 272
541 2020년 05월14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4 273
540 2020년 05월1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4 239
539 2020년 05월13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3 238
538 2020년 05월1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3 228
537 2020년 05월12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0-05-12 193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