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2년 09월23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2-09-22 [22:59] count : 227
미 증시, FOMC 여진 등으로 약세 지속

미국 증시 리뷰

22 일(목) 미국 증시는 전일 급락 이후 강보합 출발했으나, 9 월 FOMC 여진으로 인해 10 년물 금리 3.7%대로, 2 년물 금리는 4.1%까지 급등한 부담으로 3 거래일 연속 하락 (다우 -0.35%, S&P500 -0.84%, 나스닥 -1.37%).

일본은행(BOJ)은 미국의 금리 인상에도 기존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며 금리 동결 결정과 함께 24 년만에 엔화 약세 방어하기 위한 개입을 발표. 발표 직후 엔/달러는 140 원대까지 상승. 영란은행(BOE)은 전일 2 차례 연속 50bp 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 2.25%로 결정. 작년 12 월 이후 7 차례 연속 금리 인상 결정은 높은 물가 상승률에 기인하며,다음달부터 10 년간 이어온 QE 를 종료하고 국채를 매각할 계획을 밝힘. 스위스 중앙은행 역시 75bp 인상 단행하며 기준금리 0.5% 결정, 지난 6 월 이후 두번째 인상. 9 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덴마크에 이어 유로존 마이너스 금리 시대 종료.

9 월 캔자스시티 제조업활동지수는 1(예상치 5, 전월치 -9) 기록하며 전월대비 반등했으나 예상치를 크게 하회. 전일 미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3 만건(예상치 21.7 만건, 지난주 20.8 만건)으로 전주대비 소폭 상승. 유로존 9 월 소비자기대지수는 -28.8(예상치-25.5, 전월치 -25.0) 로 발표되며 2020 년 코로나 19 판데믹 시점보다 낮은 수치 기록.

업종별로 헬스케어(+0.5%), 통신(+0.1%) 제외 전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경기소비재(-2.2%), 금융(-1.7%), 산업재(-1.5%) 업종의 하락폭이 가장 컸음. 주요 시총상위 기술주 중 알파벳(0.87%), 메타(0.49%)는 상승, 애플(-0.64%), 아마존(-1.04%) 은 하락. 테슬라(-4.06%)는 창문 오작동으로 인한 110 만대 리콜이 발생하며 급락.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현재 코스피, 나스닥 등 주요국 증시는 8 월 CPI 및 9 월 FOMC 쇼크를 연이어 맞으면서 지난 7 월 초 기록했던 연저점을 테스트하게 되는 상황에 직면. 인플레이션 대응에 총력을 기울일 목적으로 시행하는 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수요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로 침체 불안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일례로, 9 월 FOMC 75bp 인상 이후에도 11 월 FOMC 75bp 인상, 12 월 50bp 인상이 유력해지면서 10 년물금리는 3.7%대를 상회하고 있는 반면, 미국 성장률 전망치는 0.3%대로 내려가면서 3 분기 역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음(CME Fed watch 11 월 75bp 인상확률 69.7%, 12 월 50bp 인상 확률 69.6% / 현재 기준금리 상단 3.25% vs 연말 기준금리 상단 컨센서스 4.5%). 이는 주식시장 참여자들과 실물 경제주체들로 하여금 주가 할인율과 실제 소비에 영향을 주는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버틸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임.

다만 9 월 FOMC 이전부터 연말 기준금리 상단 컨센서스가 이미 4.5%로 형성됐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시장에서는 이미 해당 FOMC 에서 드러났던 연준의 매파적인 정책을 상당부분 주가 및 금리에 반영해왔던 것으로 판단. 더 나아가, 추후 금리인상 강도는 결정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의존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파월의장의 발언처럼, 10 월 13 일 발표 예정인 9 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결과에 따라 정책 강도 및 증시 방향성도 달라질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 이를 감안 시 9 월 남은 기간까지 대형 매크로 이벤트는 부재한 상황 속에서 러시아의 확전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대폭 증가하지 않는 이상, 9 월 FOMC 여진 등으로 주요국 증시가 연저점을 이탈하더라도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으로 판단.

전일 국내 증시는 9 월 FOMC 충격, 원/달러 환율 1,400 원대 진입 등 매크로 악재에도 2 차전지, 일부 시클리컬 주 강세, 밸류에이션 매력 등에 힘입어 장중 낙폭을 축소한 채로 마감(코스피 -0.6%, 코스닥 -0.5%). 금일에도 FOMC 여진으로 인한 나스닥 약세, 4 분기 반도체 가격 하락 전망 등에서 기인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약세(-2.8%) 등으로 약세 압력을 받으며 출발할 것으로 예상. 한편, 일본은행이 24 년 만에 처음으로 외환 개입에 나서면서 엔화 가치 하락을 방어하는 의지를 높였으며, 한국 역시 여러 채널을 통한 원/달러 환율 추가 급등에 대비하려는 의지가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 시 장중에는 외환시장의 움직임이 증시 변동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52 2023년 03월03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3-02 128
1251 2023년 03월0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3-02 133
1250 2023년 03월02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3-02 113
1249 2023년 03월0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3-02 87
1248 2023년 02월28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8 100
1247 2023년 02월2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8 92
1246 2023년 02월24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3 116
1245 2023년 02월2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3 108
1244 2023년 02월23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3 168
1243 2023년 02월2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2 143
1242 2023년 02월22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1 169
1241 2023년 02월2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1 161
1240 2023년 02월21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1 154
1239 2023년 02월2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20 196
1238 2023년 02월1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2-16 112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