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2년 10월18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2-10-17 [23:56] count : 194
미 증시, 영국발 불안 완화, 실적 기대 등으로 상승

미국 증시 리뷰

17 일(월) 미국 증시는 영국 감세안 철회로 인한 파운드화 반등 및 달러 약세, 일부 연준위원의 시장 진화성 발언, BOA(+6.1%)등 주요 금융주들의 양호한 실적 등에 힘입어 급등 마감 (다우 +1.86%, S&P500 +2.65%, 나스닥 +3.43%).

제레미 헌트 영국 신임 재무장관은 9 월 23 일 발표한 감세안을 대부분 철회한다고 밝힘. 최저 소득세율을 20%에서 19%로 인하하는 방안을 철회하고, 배당세율 인하와 법인세율 동결 계획을 취소하기로 결정. 감세안으로 인해 급락했던 파운드화 가치는 반등하여 9 월 23 일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국 공산당 20 차 당대회가 개최되며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소식을 주시하고 있는 가운데, 18 일로 예정되었던 3 분기 경제성장률, 9 월 산업생산 및 소매판매, 고정자산 투자 등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하는 실물 지표들의 발표를 연기. 중국 정부의 제로 코로나 19 정책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할 것이라는 우려 확대.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제약적인 수준까지 인상해야 하지만, 너무 빠르게 금리를 인상하는 데 따른 위험성을 경고. 한편, 미국 10 월 뉴욕 제조업지수는 -9.1(예상 -4.3, 전월 -1.5) 기록,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부진. 신규수주, 출하지수가 급감했고 지불가격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경기 위축으로 인해 연준이 정책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기대감 일부 유입.

전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경기소비재(+4.2%), 부동산(+3.9%), 통신(+3.3%) 업종의 상승폭이 가장 컸고, 필수소비재(+1.1%), 에너지(+1.2%), 헬스케어(+1.7%) 업종의 상승폭이 가장 작았음.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이전까지 큰 폭의 조정을 받았던 애플(2.91%), 알파벳(3.53%), 아마존(6.45%), 메타(5.74%), 테슬라(7.01%), 엔비디아(5.89%) 등 시총 상위 기술주들의 급등이 나스닥 상승을 주도. BOA(+6.1%)는 이자수입과 채권수익의 증가로 인해 예상치를 상회한 3 분기 실적 발표, 지난주 JP 모건에 이어 금융주들의 실적 기대감을 높임.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최근 주식시장 불안을 유발했던 매크로 악재는 글로벌 강달러 현상으로서, 달러 대비 상대국 통화 약세에서 기인한 글로벌 수요 위축, 대외 매출 비중이 높은 미국 빅테크들의 실적 부진 등의 부작용을 초래했던 상황. 달러화 강세의 배경은 여타 중앙은행 대비 빠른 속도로 단행하는 연준의 고강도 금리인상의 영향도 있겠지만, 유럽발 불안도 상당부분 영향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이미 시장에서는 11 월 FOMC 75bp 인상을 기정사실화했으며(확률 95%), 12 월 75bp 인상(확률 68%)도 유력시하고 있는 만큼 달러화 강세가 이른 시일 내에 하락 기조로 전환하기는 어려워 보임.

그러나 상당부분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은 가격에 반영되고 있는 가운데, 영국발 불안도 완화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달러 추가 상승여력은 제한적일 전망. 일단 9 월 말 영국 정부는 450 억파운드 규모 감세안 발표 이후 재정 악화, 중앙은행과의 정책 엇박자 등의 비판에 시달리며 구제금융까지 받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제기됨에 따라 파운드화의 급격한 약세가 출현했던 상황. 달러 인덱스를 구성하고 있는 유로화(비중 58%), 엔화(14%), 다음으로 높은 파운드화(12%)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에, 이 같은 파운드화 약세는 달러 강세를 한층 더 자극했던 요인. 또 지난주까지만 해도 신임 재무장관이 10 월 31 일에 중기예산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은 해당기간까지 영국발 불확실성을 떠 안고 갈 수 밖에 없었음.

하지만 17 일 영국 재무장관은 최근 일련의 시장 불안을 안정시키고자, 단기 예산안 발표를 통해 소득세율 인하 취소 등 감세 정책을 사실상 철폐시키기로 결정했다는 점이 시장의 위험선호심리 회복에 기여했던 것으로 판단. 물론 31 일에 중기 예산안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안도하기에는 이르지만, 최근 시장 악재의 상당 비중을 차지했던 영국발 불안이 최악으로 치닫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필요. 더 나아가, 전일 호실적으로 인한 BOA(+6.1%) 주가 급등에서 유추해볼 수 있듯이, 한국, 미국 등 주요국 증시는 실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실적시즌에 진입한 만큼,신규 재료가 출현하지 않는 이상 기존 매크로 이슈에 대한 민감도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

전일 국내 증시는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 급락, 카카오 사태 등 대내외 악재로 하락 출발했지만, 이후 영국의 감세정책 철회 기대감 선반영 속 외국인의 순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코스피 +0.3%, 코스닥 +0.6%). 금일에도 급격한 반등세를 보인 미국 증시 효과, 영국의 감세안 철회 공식화에 따른 영국발 불안 완화 등이 호재성 재료로 작용하면서 상승 흐름을 보일 전망

한편, 금일 장중에는 3 분기 GDP, 9 월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한국 기업 실적에 영향을 주는 중국의 실물 경제지표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전일 중국 국가통계국 측에서 별다른 사유와 시기를 밝히지 않은 채 해당 지표 발표를 연기한다고 공시한 상황. 현재 진행중인 당대회 기간 중에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올 경우 정치적인 부담이 크다는 판단 하에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임. 이 같은 중국 지표의 연기 소식이 금일 국내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글로벌 전반적인 위험선호심리가 회복되고 있는 만큼 중국발 주가 하방 압력은 낮을 것으로 예상.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816 2021년 11월05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5 135
815 2021년 11월0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4 204
814 2021년 11월04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4 205
813 2021년 11월0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3 268
812 2021년 11월03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3 237
811 2021년 11월0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1 240
810 2021년 11월02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1-01 144
809 2021년 10월2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9 165
808 2021년 10월29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9 206
807 2021년 10월2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7 198
806 2021년 10월28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7 160
805 2021년 10월2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7 161
804 2021년 10월27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7 168
803 2021년 10월2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6 182
802 2021년 10월26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1-10-26 153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