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국내선물뉴스 내용
제목 미세먼지 공동 문제해결을 위해 동아시아 주요국(한․중․일․몽골) 전문가 한 자리에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18-04-17 [18:38] count : 728
미세먼지 공동 문제해결을 위해 동아시아 주요국(한·중·일·몽골) 전문가 한 자리에 - 4월 17일,「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포럼 개최」- ◇ 미세먼지에 대한 호흡공동체로서 동아시아 국가 간 인식 공유 및 배출(대기)과 노출(실내, 건강) 관점의 건강문제 이슈 논의 ◇ 동북아 스모그 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일 스모그 챔버 네트워크구축 및 국제협력 사례와 주요 성과 교류 4월 17일 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 포럼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복지부는 범부처 미세먼지 프로젝트 사업단 주관*으로 4월 17일 KIST 국제협력관에서 ‘동아시아 대기오염과 건강포럼’을 개최하였다. 본 행사는 동아시아 지역 주요 국가가 공동으로 당면한 미세먼지 심각성을 인지하고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한·중·일·몽골 4개 국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는 자리이다. 사업단은 이번 포럼을 통해 미세먼지와 건강 및 동북아 스모그 가설 연구에 대해 동아시아의 전문가들의 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향후 나아갈 연구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동 행사에는 동아시아 미세먼지 전문가, 관련분야 종사자 및 미세먼지에 관심 있는 일반인도 참석하였다. * 과학기술 기반 미세먼지 솔루션 마련을 위해 범부처 단일 사업단으로 발족(2017) 미세먼지에 관한 세션별 전문가 발표 진행 미세먼지와 건강, 한중일 스모그 챔버* 연구, 동아시아 미세먼지 오염과 국제협력의 세션 별 전문가 발표가 진행되었다. 미세먼지와 건강 세션에서는 임연희 교수(서울대), Takashi Yorifuji 교수(일본, 오카야마대학), Haidong Kan 교수(중국, 푸단대학)가 한·중·일 국가별 미세먼지 노출과 건강의 역학관계에 대해 발표하였다. 미세먼지가 어르신에 미치는 건강영향 관련 혈압, 심장박동 변이 등 심혈관 질환, 우울증과 같은 신경인지기능 영향 가능성 등을 소개하고 중국 미세먼지가 중국인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내용과 미세먼지의 단기 및 장기 노출 연구 결과 등이 소개되었다. 한중일 스모그 챔버 연구 세션에서는 임호진 교수(경북대), Kei Sato 박사(일본, 국립환경연구소), Min Hu 교수(중국, 베이징대학), 임용빈 박사(한국과학기술연구원)가 동북아 미세먼지의 생성원인 및 변화에 대해 발표하였다. 본 세션에서는 2차 미세먼지 생성 메커니즘 규명을 위해 스모그 챔버를 중심으로 가스 상 물질의 화학반응 및 물리적 특성 변화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다룬다. 특히, 서울에서의 장거리 외부유입 미세먼지 생성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광화학반응과 이에 따라 생성되는 미세먼지의 흡습성*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미세먼지 오염과 국제협력 세션에서 안준영 박사(국립환경과학원), Amgalan Natsagdorj 교수(몽골, 몽골국립대학교), Masami Furuuchi 교수(일본, 카나자와대학), 박선영 교수(경북대)가 동아시아 국가 별 미세먼지 대응 연구 및 국제협력 사례를 발표하였다. 지난 2016년의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 NASA가 공동으로 연구한 KORUS-AQ*의 개요 및 정책적인 시사점에 대해서도 소개되었다. 또한 국가별 산업 특성에서 기인한 화학 성분들의 차이를 설명하고, 전 지구적 이동연구를 통해 미세먼지의 장거리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실제 대기환경을 모사하여 미세먼지가 생성·성장하는 화학반응 및 물리적 현상을 정밀하게 추적하기 위한 연구 장비 * 흡습성이 큰 경우 고농도 스모그 발생 시, 미세먼지 농도 추가 증가에 주요 역할 수행 * KORea -US Air Quality Study : 국내 대기오염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반도 대기질에 대해 항공관측·지상관측·모델링 등을 수행 동아시아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미세먼지 관련 국제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 동아시아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은 미세먼지 관련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공동 연구 및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가고 있다. ‘95년 한·중·일 국제공동연구(LTP*)에서 출발하여 ’00년부터 장거리 이동 공동 감시, 배출원-수용지 관계 도출 등의 연구를 단계별로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외 80개 기관 580여명의 과학자가 참여한 KORUS-AQ 공동 연구를 통해 항공기 관측기술 등 대기질 측정·분석 능력이 한 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정부는 ‘미세먼지관리 종합대책(‘17.9)’에 따라 올해 ‘동북아청정대기파트너십(NEACAP)*’ 출범을 목표로 관련 국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는 등 미세먼지 공동대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한국정부 주도) * 동북아환경협력계획(NEASPEC) 산하 새로운 대기분야 협의체 이번 포럼을 계기로 매년 동아시아 국제 포럼을 정례화 이번 국제 포럼을 계기로 매년 동아시아 국제 포럼을 정례화하고, 미세먼지 문제 공동 해결에 기여하는 한중일 스모그 챔버 네트워크 구축 등 글로벌 미세먼지 협력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국내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6 미세먼지 공동 문제해결을 위해 동아시아 주요국(한․중․일․.. 파생인닷컴 2018-04-17 728
115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4-11 861
114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 파생인닷컴 2018-04-10 635
113 질병관리본부,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파생인닷컴 2018-03-28 826
112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파생인닷컴 2018-03-21 830
111 태국 지역 여행객들의 공수병 예방 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3-16 751
110 결핵예방 피내용 BCG 백신, 6월 중 공급 재개 파생인닷컴 2018-03-07 543
109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2-28 534
108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2-22 579
107 대학생 음주, 빈도보다 ‘양’, 남자보다 ‘여자’가 문제!.. 파생인닷컴 2018-02-19 642
106 평창동계올림픽 노로바이러스 집단발생에 따른 역학조사 실시 .. 파생인닷컴 2018-02-07 672
105 3월 초등학교와 중학교 입학 예정 어린이, 예방접종 완료하.. 파생인닷컴 2018-01-31 811
104 한국인 맞춤형 만성질환 유전체 연구를 한눈에 파생인닷컴 2018-01-24 597
103 인플루엔자 감소 추세지만, 예방수칙 준수 당부! 미접종자는.. 파생인닷컴 2018-01-17 661
102 전국적으로 강력한 한파 예상, 한랭질환 주의하세요! 파생인닷컴 2018-01-10 610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