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금리인하’ 둘러싼 연준과 시장의 괴리…환율 박스권 지속[주간외환전망]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4-06-17 [08:25] count : 282

지난주 인플레 둔화와 매파 FOMC에 환율 상승
이번주 연준 위원들 연설 대기…환율 변동성 확대
유럽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에 유로화 변수
미-중 5월 소매판매·산업생산 발표 주목
“이번주 환율 1300원 중후반대 등락”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이번주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발언과 미국 경제지표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내 금리인하 횟수를 1차례로 축소했으나 시장에선 2회를 넘어 3회까지도 보고 있는 만큼, 연준위원들의 발언을 통해 시장과의 괴리를 줄일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1360원대에서 1380원 부근까지 오르며 상승 압력이 컸다. FOMC 점도표는 연내 1회 금리 인하를 시사하며 다소 매파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5월 미국 소비자와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크게 둔화되면서 연준의 영향력은 오히려 제한적이었다. 여기에 유럽 정치 리스크 부각이 유로화가 약세 압력으로 이어지면서 달러화 강세가 지지돼 환율을 밀어올렸다.

연준 위원 연설 대기

사진=AFP

이번주에는 연준 위원들의 연설이 대기하고 있다. 17일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를 시작으로 18일에는 리치몬드, 댈러스, 시카고,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연설을 할 예정이다.

지난주 FOMC 정례회의를 연 이후 공개한 점도표(금리 전망표)를 통해 FOMC 위원 19명 중 가장 많은 8명은 올해말 기준금리 수준(중간값)을 4.75~5.00%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7명은 5.00~5.25%이었다. 나머지 4명은 5.25~5.5%를 제시했다. 가장 많은 연준 위원들은 두차례 인하를 전망하고 있긴 하지만 중간값은 5.1%로, 기껏해야 한차례 인하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보냈다. 금리동결을 요구한 위원은 기존 두명에서 네명으로 늘어났다.

점도표상 FOMC 위원들의 의견이 올해 동결, 1회 인하, 2회 인하에 촘촘하게 쏠려있는 만큼 인사들의 연이은 발언에 달러화와 환율은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오는 18일에는 미국 5월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지수가 발표된다. 소매판매는 4월 전월대비 0.0%를 기록한 부분에 대한 기저효과로 5월 전월대비 소폭 상승할 전망이다. 블룸버그 기준 컨센서스는 0.2% 증가를 전망 중이다. 5월 산업생산은 전월(0.0%)보다 오른 0.4%가 예상된다. 이는 외환시장에 중립적 영향력을 행사할 전망이다.

유럽 정치적 불확실성…강달러 지속되나

사진=AFP

지난주 유럽의회 선거에서 극우 성향 그룹 의석 비율이 상승해 유럽 정치 및 경제 불확실성이 부각된 상황이다. 최근 우파 진영이 약진하는 네덜란드, 독일, 스웨덴에 이어 프랑스도 조기 총선에서 극우 정당이 압승할 것으로 점쳐지며 프랑스와 독일의 금리차가 확대돼 유로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했다.

유럽의회에서 EU회의주의 정당이 과반을 차지할 가능성은 희박하며 기본적인 정책 노선 변경도 쉽지 않다. 다만 유럽 내 잇따라 선거가 예정돼 있는 만큼 관련 불확실성은 달러 약세를 제한하는 요인이다.

17일에는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들이 발표된다. 5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대비 3.0%(+0.7%포인트), 산업생산은 6.0%(-0.7%포인트) 증가가 예상된다. 반면 산업생산의 경우 염가 수출에 대한 무역국의 관세 부과로 소폭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겠다. 5월 산업생산은 6% 성장에 그치면서 전년(6.7%)보다 하락이 예상된다. 내수 부진 속 공급 과잉이 지속되며 소비 및 생산 지표의 양극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1~5월 부동산 투자는 전년대비 -10.0%를 기록하며 전월 -9.8% 대비 낙폭이 확대될 전망이다.

20일 인민은행의 우대 대출금리 결정을 앞두고 있어 부동산투자나 신규, 기존주택 가격에 시선이 더 쏠릴 것이다.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통화량이 둔화되며 부동산 시장의 의미 있는 개선 신호는 아직 찾기 힘들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이번주 환율은 130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이 이어지겠으나 고점은 서서히 낮아질 것”이라며 “5월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 확대로 유발된 달러인덱스 상승 대비 확대된 환율 급등이 진정 조짐을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미국의 상대적 경기 우위와 매파적 FOMC 회의에도 물가 안정으로 인한 연내 금리인하 기대가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할 것”이라며 “대신 중국 등 비미국 지표 개선세가 제한된 만큼 환율은 박스권 하단 돌파 가능성이 미미하다”고 내다봤다.

사진=NH투자증권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94 中 경기둔화 우려에 나스닥 소폭 하락 출발 파생인닷컴 2022-08-15 381
293 韓 휴장 속 엇갈린 亞…中 '깜짝' 금리인하에도 약보합.. 파생인닷컴 2022-08-15 441
292 "인플레 피크아웃 확인"…기술적 반등 전망 파생인닷컴 2022-08-15 413
291 "나스닥 하락·美 CPI 경계심리…보합 출발 후 제한적 흐.. 파생인닷컴 2022-08-09 346
290 "달러화 강세 확대·전기차 업종 하락…이번주 변동성 확대 .. 파생인닷컴 2022-08-08 359
289 코스피 대어 쏘카 공모 청약…에이치와이티씨 신규상장 파생인닷컴 2022-08-08 346
288 美증시 상승 영향…코스피·코스닥 장 초반 강한 오름세.. 파생인닷컴 2022-08-04 353
287 코스피 '안도랠리' 이어갈 듯…2500선 뚫을까 파생인닷컴 2022-08-01 356
286 "美 기준금리 내년 숨고르기, 하반기 2~3차례 인하" 파생인닷컴 2022-07-28 373
285 코스피 2400선 뚫을까…악재 해소 기대감 솔솔 파생인닷컴 2022-07-25 378
284 외국인이 돌아왔다…‘6만전자’‘10만닉스’ 회복.. 파생인닷컴 2022-07-22 359
283 ‘고물가·고환율’ 박스피 장세 이어질 듯 2260~2400.. 파생인닷컴 2022-07-18 393
282 경기침체 우려 완화에 코스피 상승 출발 예상…기술적 반등 .. 파생인닷컴 2022-07-11 336
281 [이번주 증시전망] '美 CPI·한은 금통위' 앞두고 긴장.. 파생인닷컴 2022-07-11 313
280 2분기 실적 앞두고 긴장 고조…"코스피 하단 2200까지 .. 파생인닷컴 2022-07-04 333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