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3년 03월03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3-03-02 [23:50] count : 117
2 일(목) 미국 증시는 실업자수 하락, 노동비용 상승 등 고용지표 호조 속 달러화 강세, 금리 상승이 출현했음에도, 해당 재료들에 대한 선반영 인식, 애틀랜타 연은 총재의 3 월 25bp 인상 선호 발언 등에 힘입어 상승 마감(다우 +1.1%, S&P500 +0.8%, 나스닥 +0.7%).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9.0 만건으로 전주(19.2 만건) 및 예상치(19.5 만건)를 모두 하회했으며, 1 주이상 연속으로 실업수당을 청구한 건수는 165.만건으로 전주(166.5 만건) 및 예상치(166.0 만건)를 모두 하회. 4 분기 단위노동비용은 3.2%(QoQ)로 전분기(2.0%) 및 예상치(1.6%)를 모두 상회하는 등 전반적인 미국 고용시장이 탄탄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을 재확인. 유로존의 2 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 예비치는 8.5%(YoY)로 전월(8.6%)에 비해 둔화됐으나, 예상치(8.2%)를 상회. 코어 소비자물가는 5.6%로 전월(5.3%) 및 예상치(5.3%)를 모두 상회.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금리인상의 경제에 미치는 시차를 고려 시 연준은 신중하게 행동하는 것이 적절하다면서 3 월 25bp 인상을 선호한다는 입장을 표명. 또한 긴축으로 인한 경기 둔화가 강력할 것이라는 일부 사례가 존재한다고 설명.

ECB 가 공개한 2 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 의하면, 위원회는 과도한 긴축 우려가 시기상조라고 느끼고 있음. 10 월 이후 인플레 수치가 내려왔다는 점은 환영할 만 한일이긴 하지만, 근본적인 인플레이션 전망이 변하지 않았다고 지적. 또한 현재의 금리가 최종금리 전망치와 아직까지 많이 벌어져있는 만큼, 예상보다 금리인상을 신속하게 단행하는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의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언급.

업종별로는 금융(-0.5%), 경기소비재(-0.3%)를 제외한 유틸리티(+1.8%), 기술(+1.3%), 부동산(+1.2%) 등 전업종이 강세. 테슬라(-5.9%)는 뚜렷한 호재성 재료가 없었던 인베스터데이 행사 이후 일부 시장참여자들의 차익실현 및 실망 매물이 출회된 여파로 급락.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02 2022년 09월0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31 192
1101 2022년 08월3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30 208
1100 2022년 08월3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29 191
1099 2022년 08월2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25 235
1098 2022년 08월2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24 258
1097 2022년 08월2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23 207
1096 2022년 08월2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22 230
1095 2022년 08월1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9 175
1094 2022년 08월19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9 208
1093 2022년 08월1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7 157
1092 2022년 08월18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7 166
1091 2022년 08월1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6 195
1090 2022년 08월17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6 154
1089 2022년 08월1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5 160
1088 2022년 08월16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8-15 148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