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국내선물뉴스 내용
제목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18-09-09 [02:47] count : 575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 중앙방역대책본부 가동 및 밀접접촉자 등에 대한 집중관리 진행 중 - ◇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확진자 발생 위기평가회의 개최,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 ◇ 환자 입국 이후 동선과 접촉자 조사 계속 진행 중으로 밀접접촉자 21명에 대한 격리 및 증상 모니터링 진행 중 메르스 확인자 발생에 따라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 주의로 격상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9월 8일 저녁, 긴급상황센터장 주재로 위기평가회의를 개최하고, 메르스 확진자 발생에 따른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하고, 질병관리본부 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여 메르스 추가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전국 17개 시도에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격상 사실을 알리고, 모든 시도별로 지역 방역대책반을 가동할 것을 지시하였다. * 관심(해외 메르스 발생) - 주의(해외 메르스 국내 유입) - 경계(메르스 국내 제한적 전파) - 심각(메르스 지역사회 또는 전국적 확산) 확진환자 입국 이후 이동경로와 접촉자 조사 진행중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는 확진환자 입국 이후의 이동경로와 접촉자 조사를 계속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파악된 밀접접촉자는 21명으로 이는 9월 8일 발표한 밀접접촉자 수 20명에서 1명이 추가로 확인된 것이다. 현재 밀접접촉자는 해당 지역 보건소에서 자택격리와 증상 모니터링 중이며, 최대 잠복기인 접촉 후 14일까지 집중 관리 예정이다. 또한, 이동경로 조사 결과, 삼성서울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할 때는 서울시 강남구보건소의 음압격리구급차(운전기사 개인보호구 착용)를 이용하였고, 서울대병원 의료진은 환자진료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진환자와 항공기에 동승한 승객 등을 비롯한 일상접촉자(440명)의 경우 해당 지자체에 명단을 통보하여 수동감시* 진행 중이다. 추가적으로 확진환자의 공항 내 이동경로와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접촉자 확인을 위해 CCTV 분석 및 접촉자 조사를 진행 중으로 접촉자 숫자는 변동될 수 있다. * (수동감시) 잠복기(14일) 동안 관할보건소가 정기적(5회)으로 유선·문자로 연락하고, 대상자가 의심증상 발현시 해당보건소로 연락하도록 안내 및 관리 확진환자는 열이 없어 의심환자로 분류되지 않아… 추가 전파 차단을 위한 최선을 다하는 중 확진환자는 검역단계에서 설사증상만을 신고하고, 메르스 의심증상인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은 동반되지 않고, 고막체온계 측정 결과 정상체온(36.3℃)으로 측정되어 의심환자로 분류되지 않았고, 인천공항 검역관은 검역조치 후 발열 등 증상 발생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에 신고할 것을 당부하고, 메르스 예방관리 홍보자료 등을 배부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서울시 등 지자체와 함께 접촉자 조사 및 관리를 철저히 하여 추가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히고, 국민들에게는 중동방문시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 여행 중 농장방문 자제, 낙타 접촉 및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와 생낙타유 섭취 금지, 진료 목적 이외의 현지 의료기관 방문 자제 등 메르스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과, 입국시 건강상태질문서를 성실히 작성하는 등 검역에 협조하고, 귀국 2주 이내 발열, 기침, 숨가쁨 등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말고 1339 또는 보건소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종사자는 호흡기 질환자 내원시 내국인은 DUR을 통해, 외국인은 문진 등을 통해 중동 여행력을 확인하고, 메르스 환자로 의심될 경우 해당지역 보건소나 1339로 신고할 것을 당부하였다.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정확·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국내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1 ‘희귀질환 극복을 위한 공감과 교류의 장’열려 파생인닷컴 2018-05-23 797
120 질병관리본부, 韓MSD와 백신 안정수급 위해 협력 추진 파생인닷컴 2018-05-16 762
119 장기·조직기증은 생명의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생명을 이.. 파생인닷컴 2018-05-09 732
118 질병관리본부, 하절기 대비 감염병 예방·관리 집중 강화 파생인닷컴 2018-05-02 714
117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4-25 798
116 미세먼지 공동 문제해결을 위해 동아시아 주요국(한․중․일․.. 파생인닷컴 2018-04-17 751
115 수두.유행성이하선염 증가 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4-11 889
114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 파생인닷컴 2018-04-10 660
113 질병관리본부,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파생인닷컴 2018-03-28 852
112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파생인닷컴 2018-03-21 853
111 태국 지역 여행객들의 공수병 예방 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3-16 779
110 결핵예방 피내용 BCG 백신, 6월 중 공급 재개 파생인닷컴 2018-03-07 558
109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2-28 567
108 필리핀 등 동남아 여행 시 지카 감염 주의 당부 파생인닷컴 2018-02-22 589
107 대학생 음주, 빈도보다 ‘양’, 남자보다 ‘여자’가 문제!.. 파생인닷컴 2018-02-19 652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