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자신감 되찾은 미국 경제…환율 1360원 중반대 상승 전망[외환브리핑]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4-08-16 [05:24] count : 295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1360원 중반대로 상승이 예상된다. 미국 소비와 고용 지표가 개선세를 나타내면서 미국 경기 침체 공포를 불식시켰다. 이에 달러화 강세를 쫓아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AFP

16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62.9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55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60.6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4.85원 상승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새벽 2시 마감가는 1358.0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360.6원)보다는 2.6원 내렸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가 확인되면서 달러화 약세로 인해 환율이 오후 장보다 추가 하락한 것이다.

지난 14일 발표된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기대비 2.9% 오르는 데 그치며 2021년 3월 이후 가장 둔화했다. 변동성이 큰 식음료와 에너지를 제외한 7월 근원 소비자물가도 전년동기대비 3.2% 상승하며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았다.

미국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 소식은 달러화 약세로 연결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낮은 인플레 속 부담 없이 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다만 15일 광복절 휴장으로 인해 환율에는 반영되지 못했다.

하지만 다음날 달러화 상황은 반전됐다. 미국 7월 소매판매가 ‘깜짝 증가’를 기록하고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수도 2주 연속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 7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1% 상승한 7097억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예상치 0.4% 증가를 대폭 상회하는 수치다. 6월 수치인 전월대비 0.2% 감소와 비교해도 크게 개선됐다.

소매 판매는 미국 전체 소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소비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에 달한다. 소매 판매가 줄어들면 미국의 경제 성장 속도가 둔화할 가능성이 커진다. 하지만 이날 ‘서프라이즈’한 수치가 나오면서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는 잦아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미국의 고용시장 역시 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주보다 7000명 감소한 수치다. 시장 예상치 23만6000명도 밑돌았다.

실업률이 4.3% 상승하면서 급격한 고용둔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한동안 고조됐었다. 하지만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주 연속 줄었고, 기업들의 해고가 늘었다는 데이터가 없어 고용침체 우려는 과장됐다는 평가가 힘을 얻고 있다.

최근 금융시장이 침체 공포로 무너졌던 만큼 견고한 소비와 고용 안정은 공포심을 털어내는 데 유용했다.

이날 소매판매가 호조를 보이면서 9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인하한다는 베팅도 크게 힘을 잃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9월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75.0%까지 높여 잡았다. 50bp 인하 베팅은 25.0%까지 내려갔다.

11월 금리가 현재보다 50bp떨어질 가능성은 63.9%다. 12월 75bp 내려갈 가능성은 44.0% 정도다. 대체로 25bp씩 점진적 인하로 베팅하고 있는 셈이다.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화도 강세다. 달러인덱스는 15일(현지시간) 오후 7시 29분 기준 103.02을 기록하고 있다. 102.5선에서 움직이던 달러인덱스가 다시 103선 위로 오른 것이다.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상대적으로 아시아 통화는 약세다. 달러·엔 환율은 149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18위안대로 올랐다.

이날 달러화 강세와 엔화 약세를 쫓아 환율도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가 커지며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크게 유입된다면 환율 하단은 지지될 수 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95 뉴욕증시, 금주 FOMC 회의·IPO 주목 [출근전 꼭 글.. 파생인닷컴 2023-09-18 354
794 다시 낙관론 고개…고금리에도 美경제 탄탄[월스트리트in].. 파생인닷컴 2023-09-15 367
793 뉴욕증시 상승…英 반도체사 ARM, 나스닥 '성공적 데뷔전.. 파생인닷컴 2023-09-15 335
792 美 8월 CPI 소화하며 혼조세…나스닥 0.29%↑ [뉴욕.. 파생인닷컴 2023-09-14 380
791 기대도 실망도 없었다…애매한 물가보고서[월스트리트in] 파생인닷컴 2023-09-14 344
790 뉴욕증시, 유가 부담·기술주 부진에 '하락'…나스닥 1%↓.. 파생인닷컴 2023-09-13 385
789 “아이폰 15 가격 동결” 애플 주가 타격… 오라클, ‘클.. 파생인닷컴 2023-09-13 345
788 9월 동결 낙관 속 테슬라 급등…나스닥 1.14%↑[데일리.. 파생인닷컴 2023-09-12 355
787 뉴욕증시, CPI 발표 앞두고 일제히 상승…테슬라 10%↑.. 파생인닷컴 2023-09-12 359
786 中 증시 부진에도 안정적인 은행주…불황에 더 빛났다 파생인닷컴 2023-09-11 360
785 뉴욕증시, 美 8월 CPI·신형 아이폰 주목 [출근전 꼭 .. 파생인닷컴 2023-09-11 324
784 뉴욕증시, 中 아이폰 금지령에 반도체주 추풍낙엽…애플 3%.. 파생인닷컴 2023-09-08 372
783 애플 등 기술주 부진에 혼조…나스닥 0.89%↓ [뉴욕증시.. 파생인닷컴 2023-09-08 384
782 유가 상승·Fed 긴축 장기화 우려에 하락…나스닥 1.06.. 파생인닷컴 2023-09-07 361
781 美긴축 종료 아직? 뉴욕증시 우수수 하락 [월가월부] 파생인닷컴 2023-09-07 368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