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3년 09월14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3-09-14 [23:03] count : 134
미 증시, 긴축 중단 기대, ARM 상장 효과 등으로 강세
미국 증시 리뷰
14 일(목) 미국 증시는 ECB 의 추가 인상, 미 소매판매 호조, 유가 90 달러 돌파에도, 선진국 중앙은행의 긴축 종료 기대감 속 ARM(+24.7%)의 IPO 흥행, 양호한 PPI 결과 등에 힘입어 상승 마감(다우 +1.0%, S&P500 +0.8%, 나스닥 +0.8%).업종별로는 부동산(+1.7%), 유틸리티(+1.5%), 소재(+1.4%), 에너지(+1.3%) 등 전업종이 강세. 반도체 설계업체 ARM(+24.6%)은 이날 미국 증시에 상장해 공모가 대비 10% 상승한 채로 출발했으며, 이후 추가적인 수급 유입에 힘입어 20% 넘게 폭등한 채로 마감(시가총액 652 억달러).ECB 는 9 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3.75%에서 4.0%로 25bp 추가 인상을 단행(시장 컨센서스는 동결).인플레이션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여전히 오랜기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이 금리인상의 배경이라고 설명. 그와 동시에 정책 금리가 충분히 장기간 유지되고 있으면,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적시에 되돌리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고 밝힘. 라가르드 ECB 총재는 금리가 정점에 도달했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향후 금리 결정은 추후 입수되는 지표, 인플레이션 역학, 통화정책 효과 등을 반영한 인플레이션 전망을 토대로 이루어질것이라고 언급. 경기와 관련해서는 향후 수개월간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고용은 증가했지만 고용시장 모멘텀은 둔화되는 등 경제 전망이 하방 위험으로 기울어져 가고 있다고 진단. 또한 이번 회의에서 금리 결정은 위원들 만장일치가 아니며, 일부 위원들이 금리 동결을 선호했다고 밝힘.미국의 8 월 소매판매는 0.6%(MoM)으로 전월(0.5%) 및 컨센(0.2%)를 상회. 8 월 생산자물가는 1.6%(YoY)로 전월(0.8%) 및 컨센(1.2%)를 상회한 반면, 근원 생산자물가는 2.2%(YoY)로 전월(2.4%)에 비해 하락했으며 컨센(2.2%)에 부합. 한편,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22.0 만건)으로 전주(21.7 만건)에 비해 증가했으나 컨센(22.5 만건)은 하회.중국 인민은행(PBOC)는 홈페이지 공시를 통해 올해 3 월 이후 9 개월만에 처음으로 지급준비율은 25bp 인하하겠다고 발표. 이들은 경제회복기반을 다지고 합리적이면서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고자 지급준비율을 추가 인하키로 결정했다고 설명. 또한 현재 중국 경제는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고 내생적인 동력과 사회적인 기대가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긴축 경로에 대한 우려요인과 안도요인이 혼재된 양상 나타나고 있음. 그러나 이는 유가 상승에 기인하며 미국 초과저축 여력 감소, 유로존 및 중국 경기 둔화로 인한 원유 수요 부진 가능성 등 감안했을 때 매크로발 증시 조정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 유효.ECB 통화정책 회의에서는 동결 예상을 깨고 25bp 인상을 단행, 2011 년 이후 최고치인 4.0% 도달. 유로존 CPI 는 YOY 5.3%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최근 제조업, 서비스업 PMI 가 동반 부진을 보이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 미국 8월 PPI는 예상치를 상회(MOM 0.7%, 예상 0.4%, YOU 1.6%, 예상 1.2%). 최종수요 상품 중 휘발유 가격이 MOM 20%, 전체 에너지 부문이 10.5% 급등한 것에 기인.이처럼 유가가 90 달러를 상회하며 미국, 유럽의 인플레이션 재상승 우려를 자극. 그러나 전일 미 국채금리는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나스닥은 상승, 높은 시장금리 수준에 대한 민감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그 근거는 근원 PPI 의 경우 예상치에 부합 및 하락추세를 유지(MOM 0.2%, 예상 0.2%, YOY 2.2%, 예상 2.2%). 추가로 8 월 헤드라인 소매판매는 MOM 0.6%(예상 0.1%) 기록하며 예상치를 상회. 그러나 전월치가 0.7% -> 0.5% 로 하향조정된 영향이 존재하고, 자동차 및 가스 제외한 근원 소매판매는 0.2% 증가에 그치며 전월 0.7% 대비 하락. 특히 YOY 로는 2.5% 증가 및 8 월 CPI 3.7% 감안 시 실질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해석. 잭슨홀 미팅 이후 불거졌던 미국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후퇴하는 결과였다고 판단.ECB 역시 금리 인상 결정이 만장일치가 아니었으며 이번 인상을 마지막으로 긴축 사이클 종료를 시사하는 발언. 근원 CPI 5.3% 상승, 올해와 내년에는 각각 5.1%, 2.9%를 기록하고, 25 년되어서야 2.2%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인플레이션 하락 속도는 미국과 차별화되는 부분.14 일(목) 국내증시는 미국 8 월 CPI 결과를 양호하게 소화한 가운데,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외국인의 선물 1.2 조원 순매수, 금융투자를 중심으로 한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KOSPI 1.51%, KOSDAQ 1.9%).금일 역시 미국 CPI 와 PPI 결과를 양호하게 소화하는 가운데, ARM 상장 후 첫거래일 25% 가까이 급등하는 등 투자 심리 개선되며 개별 종목 장세 이어질 것으로 판단.특히 전일 이차전지 장비, 반도체 전공정, 로봇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NAVER 등 대형주 중심으로 순매수. 반도체 전공정 장비 중심의 급등은 IPO 흥행 영향 및 삼성전자 16 나노 디램 가동률 정상화 및 감산중단 단독 보도가 크게 작용. 사실 확인 필요하지만 일부 낸드 가격의 선제적인 반등 및 업황 바닥 통과 기대감은 유효.9 월 9 일~21 일까지 연준위원들의 블랙아웃기간 돌입, 8 월 CPI 양호하게 소화했으므로 연준 이벤트는 소강국면. 11 월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므로 9 월 FOMC 에서 이를 확인할 때까지 대기하며 점차 4 분기와 내년도 실적으로 초점이 이동할 것. 코스피 EPS 이익전망치 상향은 이번주 들어 소폭 둔화되었지만 선행 PER 은 10.7 배까지 하락하며 밸류에이션 부담은 적은 상황. 이에 따라 최근 배당 플레이로 강세 보였던 자동차, 금융, 보험, 증권 업종에서 내년도 이익개선 모멘텀 뚜렷한 반도체 및 IT 부품, 장비 업종에 베팅하는 수급이 나타날 가능성.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16 2023년 10월 1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8 145
1415 2023년 10월 1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7 162
1414 2023년 10월 1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6 176
1413 2023년 10월 1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2 168
1412 2023년 10월 1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1 170
1411 2023년 10월 1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0 152
1410 2023년 10월 0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05 139
1409 2023년 10월 0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04 147
1408 2023년 09월 27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7 134
1407 2023년 09월 2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6 118
1406 2023년 09월 22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2 130
1405 2023년 09월 21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1 95
1404 2023년 09월 20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0 157
1403 2023년 09월19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19 157
1402 2023년 09월1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14 134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