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3년 12월 15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봉프로
날짜 2023-12-15 [00:23] count : 170
미 증시, 12 월 FOMC 효과 지속 등으로 강세
미국 증시 리뷰
14 일(목) 미국 증시는 12 월 FOMC 효과에 따른 금리 하락, 양호한 11 월 소매판매에도, 연준 정책 전환 기대감이 과도했다는
인식 속 매파적이었던 ECB 회의 결과 등으로 장중 변동성 장세를 연출. 다만, 신고가를 기록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포함.
AI, 이차전지, 신재생 등 개별 업종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마감(다우 +0.4%, S&P500 +0.3%, 나스닥 +0.2%).
미국의 11 월 소매판매는 0.3%(MoM)로 전월(-02%)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했으며, 컨센(-0.1%)를 상회. 전년동월대비로도
4.1%를 기록하면서 전월(2.2%)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도 20.2 만건으로 전주(22.1 만건) 및
컨센(22.0 만건)을 하회하는 등 소비 경기와 고용시장은 우려했던 것에 비해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유럽중앙은행(ECB)은 12 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예금금리)를 기존 4.05 로 동결. 최근 하락한 인플레이션이 단기간
반등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내년에는 하락하면서 2025 년에는 2% 목표치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 또한 향후 금리 결정은
경제지표, 인플레이션 역학, 통화정책 전달 강도 등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면서 이루어질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표명.
라가르드 ECB 총재는 금리인하를 전혀 논의하지 않았으며,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해 여전히 할 일이 많이 남아있다고
강조. 하지만 경기 전망과 관련해서는 통화정책의 효과가 예상보다 강할 경우 성장이 둔화될 수 있기에, 글로벌 경제와 교역이
둔화 시 유로존의 성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는 등 경기 하방 리스크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평가.
영란은행(BOE)도 12 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5.25%로 동결. 긴축 사이클이 시작된 이후 기준금리가 상당한
수준으로 상승함에 따라, 제약적인 정책 환경이 조성됐다는 점이 금리 동결의 배경이라고 설명. 다만, 선진국의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중앙은행 목표치보다 높은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한 차례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진단.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34 2023년 11월 21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21 324
1433 2023년 11월 17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7 321
1432 2023년 11월 1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6 271
1431 2023년 11월 15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5 228
1430 2023년 11월 14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4 251
1429 2023년 11월 1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9 240
1428 2023년 11월 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8 325
1427 2023년 11월 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7 331
1426 2023년 11월 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6 370
1425 2023년 11월 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2 244
1424 2023년 11월 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1 246
1423 2023년 11월 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31 246
1422 2023년 10월 3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30 229
1421 2023년 10월 27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7 154
1420 2023년 10월 2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6 283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