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4년 07월 18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4-07-18 [23:37] count : 208
미 증시,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우려에 반도체주 급락
미국 증시 리뷰
17 일(수) 미국 증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준위원의 긍정적인 발언에도, 미국이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동맹국에게 추가 무역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보도에 반도체주 대부분 6%이상 급락세 나타나며 약세. (다우 +0.59%,S&P500 -1.39%, 나스닥 -2.77%, 러셀 2000 -1.06%) 업종별로 필수소비재(+1.4%), 에너지(+1.1%), 금융(+0.9%), IT(-3.7%),통신(-2.1%), 경기소비재(-1.8%) 약세.
베이지북에서는 미국 내에서 7 월달 경제활동이 정체되거나 감소한 지역이 늘어났다고 평가. 임금은 대부분 지역에서 다소 완만(modest)하거나, 완만(moderate)한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일부 지역에선 임금 상승률 둔화가 보고.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기준금리 인하가 타당해지는 시기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며 9 월 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임. 존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도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가 바라던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에 가까워지고 있다”라고 언급.
트럼프는 연준이 11 월 대선 전에 기준금리를 낮춰서는 안 된다고 언급. 중국을 상대로 대만을 방어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대만이 우리 반도체 사업의 약 100%를 가져가기는 했다"며 "대만이 방어를 위해 우리에게 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대만 TSMC 등에 지급하는 반도체법 보조금을 문제 삼은 것으로 해석.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이 네덜란드의 ASML 과 일본 도쿄일렉트론 등 기업이 중국에 첨단 반도체 기술 접근을 계속 허용할 경우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을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 FDPR 은 해외에서 만든 제품이라도 미국산 소프트웨어나 장비 및 기술이 조금이라도 사용되면 수출 시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
엔비디아(-6.64%), AMD(-10.21%), TSMC(- 7.98%), ASML(-12.29%), 브로드컴(-7.91%), 퀄컴(-8.61%) 등 반도체주 대부분 약세.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미국이 대중 반도체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네덜란드, 일본 등 동맹국들에 고려하고 있는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은 미국 기술을 조금이라도 사용하는 외국산 제품 수출 시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 일차적으로는 네덜란드의 ASML 과 일본의 도쿄 일렉트론의 중국에 이미 판매한 장비에 대해 사후 수리 등 기술 제공을 하는 것에 대한 단속에 적용될 전망.
미국 정부는 일본과 네덜란드에 이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며 이들 국가가 자발적으로 규제안을 내놓지 않을 경우 미국이 FDPR 을 발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짐.
지난 5 월초 바이든 행정부에서 대중국 관세 규제를 발표하며 일본, 유럽 등 동맹국들의 동조를 촉구한 이후 실제로 대중 수출 제재를 강화하지 않을 경우 미국이 직접 행동에 나서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것으로 해석. 당시 국제무역위원회(ITC) 보고서 ‘무역정책 변화가 전기차 부문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동맹국들이 중국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제조 역량이 부족한 한국과 유럽 자동차 생산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보고서 발표.
결국 대중국 규제 강화, 동맹국들의 동조 요구는 초당파적임을 재확인. 트럼프가 전일 모든 국가 수입품에 대해 전면적으로 10%의 관세를 부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60~100%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며 미국 무역 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은 유럽이라고 지적한 점 역시 같은 맥락.
그동안은 트럼프 당선 가능성 상승 이후 세금인하, 규제완화와 같는 기업실적에 긍정적인 부분들이 강하게 반영되었으나,관세부과, 글로벌 무역 축소 등 현재의 금리인하 기대와 상충되는 부분이 리스크로 반영되기 시작할 소지가 있음. AI 의 장기 성장잠재력은 유효하나 단기 급등한 만큼 악재에 민감할 수 밖에 없음. 빅테크 실적에 대한 경계심리 더욱 높아지겠으나, 그외 S&P500 에너지, 원자재, 산업재의 이익증가폭이 가장 크게 상향 되었다는 점은 긍정적. M7 에 대한 실적 의존도는 점차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 유지.
17 일(수) 국내증시는 반도체 등 시총 상위 업종 중심으로 외국인 순매도 전환, 2,900 선 돌파를 앞두고 약세 마감 (KOSPI -0.80%, KOSDAQ -1.21%) 금일에는 미국의 반도체주 급락 및 정책 불확실성이 추가 악재로 작용하며 추가 약세 흐름 보일 전망. 다만 트럼프 트레이드 수혜 및 실적 기대감은 유효하므로 방산, 조선, 건설 등이 하단을 지켜줄 것으로 판단.
SK 하이닉스(-5.36%), 한미반도체(-5.2%) 등 HBM 관련주 급락. 전일 엔비디아 약세, 다음주 빅테크 실적 경계심리 유입.
또한 트럼프가 1) 연준이 11 월 대선 전에 기준금리를 낮춰서는 안 된다고 언급, 2) 대만이 미국 반도체 사업의 100%를 가져가고 있고 이를 방위비로 돌려받아야 한다는 비판에 위험선호심리가 위축. 18 일까지 후보 연설 및 공약 발표 과정에서 트럼프 발언의 영향력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17 일 체코 두코바니와 테믈린 지역에 1000MW 급 원전 2 기를 짓는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한수원이 선정됐다고 밝힘. 두코바니에 2 기 건설을 확정하고, 테믈린에 짓는 2 기에 대해선 5 년 안에 건설 여부를 확정할 예정. 한수원과 발주사인 EDUⅡ는 내년 3 월까지 계약을 마무리하고, 2029 년 공사를 시작해 2036 년부터 상업 운전 목표. 시장 컨센서스는 이미 17 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개장 직후 원전주 변동성 확대 예상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6 2024년 07월 3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30 176
1565 2024년 7월 5주 차 주요 일정 파생인닷컴 2024-07-29 216
1564 2024년 07월 2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26 273
1563 2024년 07월 2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25 274
1562 2024년 07월 2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24 293
1561 2024년 07월 2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23 250
1560 2024년 7월 4주 차 주요 일정 파생인닷컴 2024-07-22 220
1559 2024년 07월 1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19 232
1558 2024년 07월 1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18 208
1557 2024년 07월 1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17 188
1556 2024년 07월 1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16 214
1555 2024년 07월 1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11 248
1554 2024년 07월 1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10 194
1553 2024년 07월 1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09 190
1552 2024년 07월 0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4-07-08 214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