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4년 08월 01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4-08-01 [00:37] count : 240
미 증시, 비둘기파적이었던 7 월 FOMC 에 급등
미국 증시 리뷰
31 일(수) 미국 증시는 비둘기파적인 스탠스를 보였던 7 월 FOMC 및 그에 따른 9 월 인하 기대감 재확산 등으로 미 10 년물
금리가 4.0%대까지 하락한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1.1%)의 CAPEX 증가 소식, AMD(+9.0%)의 호실적 등으로
엔비디아(+12.8%) 등 AI 주식들의 동반 강세에 힘입어 큰 폭 반등(다우 +0.2%, S&P500 +1.6%, 나스닥 +2.6%).
7 월 FOMC 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 지난 7 월 중 ECB 포럼, 상하원 청문회에서 언급했던것과 유사하게, 인플레이션이
최근 수개월간 2% 목표를 향한 추가 진전이 있었으며, 2 분기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자신감을 키웠다고 진단. 무엇보다 이전
회의에서는 특정 회의에서의 금리인하를 언급하지 않았으며, 이번 회의에서는 9 월 금리인하가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다고
언급하는 등 시장참여자들에게 사실상 9 월 인하 시그널을 전달. 또 9 월 포함해 향후 회의에서 아무것도 결정된 바가
없다면서도, 고용시장과 인플레이션 예상 밖으로 둔화된다면 연준은 이에 대응할 준비가 있다고 설명.
미국의 7 월 ADP 민간 신규고용은 12.2 만건으로 전월(15.5 만건) 및 컨센(14.7 만건)을 하회하는 쇼크를 기록. 7 월
임금증가율도 4.8%(YoY)에 그치면서 3 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 ADP 측은 현재의 노동시장의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면서 연준의
2% 물가 목표 도달에 동조하고 있다는 식의 입장을 표명.
BOJ 는 7 월 금융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0~0.1%에서 0.25% 정도 인상했으며, 국채 매입규모도 2026 년 1 분기까지 월
3 조엔으로 축소키로 결정. 동시에 이들은 장기금리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는 매입액을 다시 높이는 등 민첩하게 대응하고,
필요하다면 테이퍼링 계획을 수정할 것이라고 밝힘. 우에다 BOJ 총재는 현재의 경제 및 물가 전망이 실현될 경우 통화 완화
수준을 조정할 것"이라며 "금리 0.50%를 상한선으로 염두에 두고 있지 않는다"고 언급. 또 향후 금리 인상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영향을 분석할 것이라면서 이번 금리 인상으로 물가가 둔화될 것이라고 진단.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20 2023년 10월 2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6 236
1419 2023년 10월 25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5 245
1418 2023년 10월 24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4 262
1417 2023년 10월 2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9 268
1416 2023년 10월 1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8 231
1415 2023년 10월 1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7 256
1414 2023년 10월 1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6 274
1413 2023년 10월 1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2 263
1412 2023년 10월 1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1 261
1411 2023년 10월 1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0 258
1410 2023년 10월 0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05 258
1409 2023년 10월 0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04 243
1408 2023년 09월 27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7 216
1407 2023년 09월 2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6 229
1406 2023년 09월 22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22 236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