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강달러 부담 속 中위안화 약세 방어…1450원대로 무거워질 환율[외환브리핑]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5-01-10 [02:06] count : 163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1450원대로 하락이 예상된다. 미국 금리 인하 속도 조절, 트럼프 2기 행정부 보편 관세 부담에 글로벌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위안화 약세 방어로 인해 환율이 무거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AFP

10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57.8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1.75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60.5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0.95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60.0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60.5원)보다는 0.5원 내렸다.

간밤 뉴욕증시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국가 장례식으로 인해 휴장했으나 파운드화가 급락하면서 달러 강세를 지지했다.

파운드는 최근 영국 국채금리가 급등한 여파에 재정 악화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면서 약세 압력을 받고 있다. 이날 영국 10년물 국채금리는 2008년 이후 최고치를 이틀째 갈아치웠다.

영국 의회 긴급 현안 질의에 참석한 대런 존스 재무부 부장관은 영국 국채시장은 “질서있게 계속 기능하고 있다”면서 “긴급 개입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날 파운드·달러 환율은 한때 1.22390달러까지 밀려 2023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경신한 뒤 1.23달러 부근으로 반등했다. 다만 약세 흐름 자체가 반전될 조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은 금리 인하에 거리를 두면서 달러 강세를 견인했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9일(현지시간)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보먼 이사는 지난 9월 연준이 ‘빅컷’을 단행할 때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진 인물이기도 하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연준이 여전히 금리인하 경로에 있지만 여러 불확실성으로 정책 경로가 흐려졌다며 한동안 쉬어가는 것도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

달러화는 강세다. 달러인덱스는 9일(현지시간) 오후 6시 24분 기준 109.18을 기록하고 있다. 전날 장 마감 기준 109선이었던 것에서 오른 것이다.

아시아 통화 약세는 소폭 누그러졌다. 달러·엔 환율은 158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35위안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특히 전날 중국 인민은행이 오는 15일 홍콩에서 600억위안(약 11조9000억원) 규모의 중앙은행증권을 발행한다고 밝히면서 위안화 추가 약세는 제한됐다. 인민은행이 중앙은행증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위안화 약세를 막기 위해서다. 달러·위안 환율은 지난해 7위안선을 기록한 적도 있으나 최근 7.3위안선까지 올라오면서 상승세(위안화 약세)를 나타냈다.

또 중국 경제지표가 부진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선 당선인이 대통령 취임 시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을 예고하는 등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달러 강세 부담에도 불구하고 인민은행 위안화 방어, 증시 외국인 자금 복귀 등 호재를 반영해 환율은 하락 압력이 우위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외국인이 국내증시에서 순매수세를 이어가고 있어 이날도 자금이 유입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시간으로 이날 저녁 10시 반께 미국 12월 비농업고용이 발표된다. 비농업고용은 15만3000개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월의 22만7000개에서 크게 감소한 것이다. 12월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4.2%가 예상되고 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50 구글, 사상 첫 배당 '주당 20센트'…AI 불안감 덮었다.. 파생인닷컴 2024-04-26 380
1049 뉴욕증시, GDP·PCE 앞두고 혼조 마감...메타, 12.. 파생인닷컴 2024-04-25 389
1048 '매그니피센트7' 실적 먹구름…지수 혼조 [뉴욕증시 브리핑.. 파생인닷컴 2024-04-25 395
1047 기업실적 호조에 일제히 상승…테슬라는 최대폭 매출 감소[뉴.. 파생인닷컴 2024-04-24 367
1046 주요기업 호실적에 투심 개선...나스닥 1.5% 상승 [출.. 파생인닷컴 2024-04-24 374
1045 중동 긴장감 완화에 안도…나스닥 1.11%↑ [뉴욕증시 브.. 파생인닷컴 2024-04-23 378
1044 반등성공한 뉴욕 증시...테슬라는 가격인하 소식에 추가하락.. 파생인닷컴 2024-04-23 340
1043 중동불안보다 외환당국 개입 경계감…환율 1370원대 재진입.. 파생인닷컴 2024-04-22 364
1042 뉴욕증시, 빅테크 실적 주목...주가 향방 분수령 [출근전.. 파생인닷컴 2024-04-22 340
1041 금리인하커녕 되레 인상 가능성까지…나스닥 0.5%↓ [뉴욕.. 파생인닷컴 2024-04-19 334
1040 넷플릭스, 가입자 순증 꺾였다…악재 쏟아진 기술주 [글로벌.. 파생인닷컴 2024-04-19 337
1039 올해 금리인하 물 건너 가나…3대 지수 일제히 하락 [뉴욕.. 파생인닷컴 2024-04-18 323
1038 반도체 실적 불안 커졌다…ASML 수주 약화에 엔비디아 급.. 파생인닷컴 2024-04-18 354
1037 뉴욕증시, 파월 매파 발언에 털썩...테슬라 2%↓[출근전.. 파생인닷컴 2024-04-17 342
1036 채권시장 무너뜨린 파월…2년물 5% 돌파 [글로벌마켓 A/.. 파생인닷컴 2024-04-17 333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