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美경기 둔화 키우는 트럼프 관세…환율 1450원대로 하락[외환브리핑]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5-03-05 [08:52] count : 171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1450원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의 모든 수입품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가 이날부터 발효된 가운데,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경기 둔화가 가팔라질 것이란 전망이 커지고 있다. 이에 달러화가 급락하며 환율도 하락 압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사진=AFP

5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52.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4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61.8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7.4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60.3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61.8원)보다는 1.5원 내렸다. 환율은 유럽의 방위비 지출 확대 움직임에 따른 유로화 강세와 맞물려 뉴욕 거래 초반 1454.1원까지 밀리며 일중 저점을 찍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이른바 ‘유럽 재무장 계획(REARM Europe Plan)’을 27개 회원국 정상에게 제안했다. EU 재정준칙 적용 유예 등을 통해 방위비 증액 차원에서 최소 8천억유로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게 하는 계획이다. 이에 따른 경기 부양 기대감에 유로·달러 환율은 한때 1.0638달러로 급등했다.

미국은 이날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 캐나다산 에너지에 대한 관세율은 10%로 책정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20%의 추가 관세를 물린다. 이에 대상국들은 즉각 보복에 나섰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재보복에 나서겠다고 압박하면서 관세정책의 향방은 오리무중으로 접어들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캐나다의 대응에 “그가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우리의 상호 관세는 즉각 그만큼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는 게 경제학자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기업들은 마진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인상에 나설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소비가 줄게 되면 미국 경기 둔화가 가팔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커진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상반기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22.5%까지 내려갔다. 금리선물은 올해 연준 3회 인하를 가격에 반영하고 5월 인하 확률도 끌어올렸다.

트럼프 관세가 잠재적으로 미국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강해지면서 달러화는 급락했다. 달러인덱스는 4일(현지시간) 오후 6시 34분 기준 105.56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9일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달러가 약세를 나타내자 아시아 통화는 강세다. 달러·엔 환율은 149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25위안대로 내려왔다. 만약 이날 중국 전인대 기자회견에서 5% 내외 성장 목표와 경기부양 패키지가 공개될 경우 장중 위안화가 추가 강세를 나타내면서 원화도 동조할 가능성이 크다.

이날 환율은 달러 약세와 위안화 강세로 인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연초 거주자 해외주식투자는 순결제액 기준 약 70억달러를 기록하며 환율 하단을 지지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 가격이 빠졌을 때 달러를 쟁여두려는 수입업체 실수요도 유입되면서 환율 하락 속도를 제어할 것으로 보인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968 뉴욕증시, FOMC 의사록·엔비디아 실적 주목 [출근전 꼭.. 파생인닷컴 2024-02-19 314
967 중국 증시 부양에 ‘위안화 강세’…환율 1320원 초반대 .. 파생인닷컴 2024-02-07 275
966 [뉴욕증시]'매파 파월'에도 기업 실적 호조에 상승 파생인닷컴 2024-02-07 302
965 파월 매파 발언에…10년물 美국채금리 4.1%대 급등 [월.. 파생인닷컴 2024-02-06 374
964 "금리 인하 기대 줄여야" 파월 발언에…3대 지수, 일제히.. 파생인닷컴 2024-02-06 277
963 코스피 장 초반 2600 붕괴…외국인·기관 매도세에 하락 .. 파생인닷컴 2024-02-05 285
962 상승 피로감 속 불길한 조짐도…연준 인사 발언에 주목[이번.. 파생인닷컴 2024-02-05 319
961 애플, 5분기 만에 전년 대비 매출 2%↑…시간외 주가 약.. 파생인닷컴 2024-02-02 311
960 3대 증시, 일제히 상승…메타 등 기술주 '실적 축포' [.. 파생인닷컴 2024-02-02 326
959 "3월 금리인하 없다" 찬물 끼얹은 파월…나스닥 2.2%↓.. 파생인닷컴 2024-02-01 305
958 신중한 파월…금리인하 임박 신호 없었다[월스트리트in] 파생인닷컴 2024-02-01 376
957 기술주 랠리 끝나나…나스닥 0.76%↓[월스트리트in].. 파생인닷컴 2024-01-31 297
956 실적 발표·FOMC 앞두고 관망세 유입…나스닥 0.76%↓.. 파생인닷컴 2024-01-31 319
955 美국채 공급 감소 소식에 채권·증시 ‘랠리’…S&P500 .. 파생인닷컴 2024-01-30 299
954 FOMC 회의 앞두고 다우·S&P500 또 사상 최고치 [.. 파생인닷컴 2024-01-30 348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