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버핏이 팔 때 팔았어야"…주저앉은 나스닥에 개미들 '한숨' [뉴욕증시 브리핑]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5-03-11 [01:49] count : 156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가 동반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로 인한 미국의 경기침체를 감수하겠다고 발언하면서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890.01포인트(2.08%) 내린 41,911.71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55.64포인트(2.70%) 하락한 5,614.56, 나스닥종합지수는 727.90포인트(4.00%) 급락한 17,468.32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가 1만8000선 아래로 내려간 건 작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낙폭도 2022년 9월13일(-5.16%) 이후 가장 컸다.

이날 시장을 무너뜨린 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다. 지난 9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경기침체를 감수하고라도 고율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겠다는 취지로 말했다. 올해 경기침체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하는 일은 미국에 부를 다시 가져오는 과정"이라며 "일정한 과도기적 시기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의 증시 조정에 대해서도 "공정하게 말하면 (조정폭이) '많이'는 아니다"라며 "내가 하려고 하는 것은 강한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고 우리는 옳은 일을 해야 한다.
그것은 미래를 위한 엄청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공 일변도의 입장에 증시는 발작 증세를 나타냈다. 우선 주식시장을 탈출하고 보자는 투매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4%에서 1.7%로 대폭 낮췄다. 이 증권사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우리의 무역 정책 가정이 상당히 비관적으로 바뀌었고 정부가 관세 부과에 따른 단기적 성장 둔화를 예고했다"며 관세 인상이 소비자 가격을 올리고 금융 여건을 긴축시키며 기업들의 투자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초기에 일종의 '빅 배스(big bath·위험 요인 일시 제거)'를 단행하려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2년간 미국 증시가 가파르게 상승해왔기 때문이다. S&P500 지수는 지난 2년간 53%나 상승했다.

지난 2년간의 미국 증시 상승을 주도한 기술주들이 이날 하락을 주도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도 모두 급락했다. 애플과 엔비디아, 메타플랫폼스, 알파벳도 5% 안팎으로 떨어졌으며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닷컴도 3% 안팎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특히 테슬라는 15.43% 폭락했다. 최근 5년래 가장 큰 낙폭이다.

미국 주식 투자에 나선 개인투자자(일명 서학개미)들의 손실이 불가피해 보인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최근 한달(2월8일~3월7일) 동안 테슬라 주가를 2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를 8억2499만달러어치 순매수했다. 두 번째로 많이 사들인 건 테슬라 주식으로, 순매수 규모는 7억8189만달러에 달한다.

지난 2019년 5월 워런 퍼빗 벅셔해서웨이 회장과 찰리 멍거 부회장(오른쪽). 사진=연합AP

지난 2019년 5월 워런 퍼빗 벅셔해서웨이 회장과 찰리 멍거 부회장(오른쪽). 사진=연합AP
최근 미국증시 조정이 이어지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렌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의 선제적 현금화가 재조명되고 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최근 포트폴리오 내의 보유 주식을 처분하고 현금을 확보하는 행보를 보였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그의 사진과 함께 “누가 치매냐”는 문구가 게재됐다. 미 증시가 강세를 보일 때 버크셔해서웨이 주식을 매도하는 걸 조롱한 누리꾼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38.1%까지 뛰었다.

지난 2023년 11월의 28.7%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4.49포인트(19.22%) 뛴 27.86을 기록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953 “4분기 GDP, 연준이 바라던 지표”…S&P500 0.5.. 파생인닷컴 2024-01-26 306
952 테슬라 부진 덮은 美 GDP 성장률…3대지수, 일제히 '상.. 파생인닷컴 2024-01-26 326
951 실적따라 증시 혼조 속…메가 테크 상승에 나스닥 0.36%.. 파생인닷컴 2024-01-25 372
950 S&P500 나흘째 최고점…MS, 장중 시총 3조 돌파 [.. 파생인닷컴 2024-01-25 385
949 피벗 파티 끝나고…실적에 따라 엇갈린 뉴욕증시[월스트리트i.. 파생인닷컴 2024-01-24 360
948 S&P500, 사흘째 최고가…넷플릭스 장 마감 후 8% 급.. 파생인닷컴 2024-01-24 347
947 애플, 시총 1위 탈환…S&P500 또 사상 최고·다우 3.. 파생인닷컴 2024-01-23 366
946 중국발 리스크 오프 속 BOJ 주목…환율 1340원 회복 .. 파생인닷컴 2024-01-23 403
945 뉴욕증시, 신고가 랠리 지속 여부 관심...테슬라 등 실적.. 파생인닷컴 2024-01-22 362
944 뉴햄프셔 경선 코앞…'대세론' 트럼프, 헤일리에 지지율 1.. 파생인닷컴 2024-01-22 357
943 '기술주 랠리' 나스닥 1.35%↑…엔비디아 최고가 [뉴욕.. 파생인닷컴 2024-01-19 329
942 강한 美고용 속 당국 ‘개입 경계’ 지속…환율 1330원대.. 파생인닷컴 2024-01-19 293
941 탄탄한 美소비 속 강해진 당국 개입 경계…환율 1340원대.. 파생인닷컴 2024-01-18 360
940 뉴욕증시, 강한 소비·국채 금리 상승에 하락…다우 0.25.. 파생인닷컴 2024-01-18 341
939 희미한 ‘조기 금리인하’ 불씨…환율 1340원 진입 시도[.. 파생인닷컴 2024-01-17 296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