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5년 05월 13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5-05-13 [00:40] count : 164

미 증시, 미중 고위급 협상 서프라이즈로 급등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12일(화) 미국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고율 관세 90일 유예 소식에 힘입어 애플(+6.3%), 엔비디아(+5.4%), 테슬

라(+6.8%) 등 관세 피해주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급등(다우 +2.8%, S&P500 +3.3%, 나스닥 +4.3%)

이번 미중 실무진 고위급 협상 결과는 시장이 기대했던 것보다 성과가 더 좋았던 서프라이즈성 이벤트였던 것

으로 판단.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과 중국은 최근 상호간에 부과한 고율 관세를 5월 14일부터 90일 동안

115%p 인하키로 결정(미국의 대중관세 145%->30%, 중국의 대미관세 125% -> 10%). 또 양국 모두 각자의

성명문을 통해 균형 잡힌 무역을 추구할 것이며, 여타 국가와도 무역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표명. 더 나

아가, 더욱 완벽한 합의를 위해 1) 수주 이내에 다시 만나서 논의할 것이며, 2) 양국의 추가 무역갈등을 방지하

고자 협의체를 신설해 필요할 때마다 협의하기로 결정.

이처럼 이번 미중 관세 협상은 주식시장이 최근 반등 과정에서 반영해왔던 “최악의 상황은 지났다”에 힘을 실

어준 것을 넘어서는 결과. 이는 그간 여러 차례 제기됐던 “셀 아메리카” 현상을 후퇴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 이런 측면에서 5월 7일 기준으로 지난 4주 동안 글로벌 주식형펀드 자금흐름 상 “미국향 자금 유출(4주

누적 -266억달러) VS 유럽(+170억달러), 아시아(+71억달러)향 자금 유입”의 현상이 “미국 유입, 유럽 및 아시

아 유출”로 국면이 바뀔지 여부도 관심사가 될 것.

현 시점에서는 국면 전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나, 지속력에 대해서는 시장 참여자들간 의견이 엇갈릴 수

있음. 양국간 극적인 관세 유예에 합의를 봤다고 하더라도, “조기 관세 전쟁 종결 및 증시 전고점의 빠른 탈환”

에 대한 베팅에는 한계가 존재. 여전히 중국 포함 여타 국가에 대한 관세율 10%는 발효되고 있는 데다가, 이

번 관세 합의에 자동차, 철강, 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 유예는 적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 또 ‘18~19년 1기 무역

분쟁 당시에도 “양국간 휴전 합의 -> 취소 및 관세 인상 -> 재합의”의 과정을 반복했던 사례도 참고해볼 필요.

이를 종합해보면, 일단 이번 고율관세 유예 조치는 증시의 위험선호심리 개선에 기여하는 재료인 것은 맞음.

다만,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트럼프와 시진핑의 회담 등 후속 협상 내용, 10% 보편관세 및 개별 품목 관

세의 영향에 대한 확인 과정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 시, 향후 1~2개월 동안의 협상 진행 과정 및 경기 및

실적 데이터의 증시 민감도는 높을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

전일 국내 증시는 주말 중 치러진 미중 고위급 협상 결과에 대한 기대심리 선반영 등으로 관세 피해주를 중심

으로 반등에 나서면서 상승 마감(코스피 +1.2%, 코스닥 +0.4%).

금일에는 미중 관세 전쟁 완화에 따른 M7,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강세 등 미국발 호재가 국내 반도체 등 대

형주를 중심으로 모멘텀을 부여하면서 상승 흐름을 보일 전망.

업종 측면에서는 이번 트럼프 약가 인하 행정명령이 법적, 제도적인 이슈로 인해 현실성이 낮다는 지적으로 인

해 미국 제약업체들이 반등한 만큼, 국내 제약 및 바이오주들의 투자심리가 호전될 것으로 예상.

뿐만 아니라, 주요 업종간 수급 로테이션에 주목할 필요. 지난주 5월 9일 종가 기준으로, 4월 9일 폭락 이후 주

가 상승률 상위권 업종은 기계(+32.3%), 조선(+31.2%), 상사, 자본재(+25.1%) 등 주도주이자 관세 무풍지대

주식으로 인식된 방산과 조선 업종이었음.

반면, 코스피(+12.4%)보다 부진했던 하위권 업종은 철강(+4.8%), IT가전(+4.8%), 반도체(+6.8%), 자동차

(+7.4%) 등 관세 피해주들이었던 상황. 전일에도 이미 출현한 감이 있지만, 금일에도 미중 양국 관세 유예 확

정이 관세 피해주들로의 손바뀜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기존 주도주들의 단기 주가 변동성 확

대는 대비할 필요.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01 2023년 09월1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13 164
1400 2023년 09월1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12 166
1399 2023년 09월1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11 166
1398 2023년 09월0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07 137
1397 2023년 09월0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06 177
1396 2023년 09월0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05 167
1395 2023년 09월0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09-04 188
1394 2023년 09월01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9-01 183
1393 2023년 08월31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31 146
1392 2023년 08월30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30 160
1391 2023년 08월29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29 159
1390 2023년 08월25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25 152
1389 2023년 08월24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24 188
1388 2023년 08월23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23 171
1387 2023년 08월22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08-22 178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