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매파` 파월 후폭풍, 고용지표에 달렸다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2-08-29 [00:50] count : 491

이번주에도 후폭풍 여전할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
내달 2일 고용지표 둔화폭이 변수…취업자 52.8만→32.5만
3.5%로 역대급 실업률 유지…美경제 성장세 재확인할 듯
8월 ISM 제조업지수도 양호할 듯…소매업종 실적도 주목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잭슨홀 미팅에서 우려했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이 현실화하면서 지난주 말 뉴욕 증시는 또 한 번 충격에 휘청거렸다.

이번 주에도 그 후폭풍이 여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많은 연준 고위 인사들의 발언과 8월 노동부 고용지표 결과에 따라 높은 시장 변동성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일단 “미국 경제에 어느 정도 고통을 초래하더라도 정책금리 인상을 계속 하겠다”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세 차례 연속으로 75bp 정책금리를 올리는 이른바 `자이언트 스텝`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고, 내년 초중반 금리 인하 기대도 후퇴하고 있다. 이는 이번주 증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 들어 지금까지의 S&P500지수 추이



리즈 앤 손더스 찰스슈왑 수석 시장전략가도 “파월 발언으로 인해 이번주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면서 “연준의 계속적인 정책금리 인상 기조 외에도 기업들의 실적 기대치도 낮아질 수 있는 만큼 시장도 그에 맞춰 조정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주 중 9월이 시작되는 만큼 투자심리는 더 위축될 수 있다. 이는 9월 뉴욕 증시가 월간 수익률 면에서 최악의 달로 기록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CFRA에 따르면 1945년 이후 작년까지 9월 중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평균 0.6% 하락해 12개월 중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또 이 76년 간 9월에 지수가 상승한 경우는 44%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주 가장 주목되는 이벤트는 금요일인 2일에 공개될 8월 고용지표다. 이 지표가 여전히 양호하게 나온다면 파월 의장이 밝힌 매파적 발언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되기 때문이다.

일단 8월 고용지표는 앞선 7월 지표보다는 둔화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8월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는 32만5000명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는 7월의 52만8000명보다는 20만명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앞선 3개월 평균 43만7000명, 6개월 평균 46만5000명, 12개월 평균 51만2000명에 비해 둔화가 뚜렷해 보인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여전히 경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20만명 이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8월 실업률도 3.5%로 전월과 같은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미국 경제 성장이 여전히 탄탄하다는 걸 재확인할 가능성이 좀더 높아 보인다.

미국 월별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 추이



그보다 하루 전인 1일에 발표되는 8월 구매관리자협회(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7월의 52.8보다는 다소 낮아지겠지만 52.6으로 점쳐지면서 여전히 제조업 경기가 확장 국면에 있음을 보여줄 전망이다.

만약 이대로 지표가 발표된다면 시장에선 9월 FOMC 회의에서 또 다시 75bp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데 좀 더 무게를 실을 것으로 보인다.

마이클 게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미국 경제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주 나오는 고용지표와 13일에 공개될 8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 9월 금리 인상폭이 결정될 것”이라며 “그 결과에 따라 75bp 금리 인상이 점쳐진다면 시장에 다소 충격이 있겠지만, 따지고 보면 이 역시 그동안 시장이 이미 예상해 오던 수순이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와 맞물려 이번 주 잇달아 연설에 나서는 연준 고위 인사들의 발언도 주목도가 높을 전망이다.

29일에는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이 연설하며, 30일에는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의 방송 인터뷰와 톰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의 연설이 예정돼 있다. 또 31일에는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와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가 각각 연설한다. 9월1일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가 또 한 번 연설에 나선다.

이번 주 막바지인 2분기 어닝시즌, 소매 유통기업들의 실적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번 주에는 미국 대형 전자유통업체인 베스트바이를 시작으로, 온라인 쇼핑몰인 츄이, 익스프레스와 캠벨스프 등 소매업체들이 줄줄이 실적을 공개한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64 美고용 서프라이즈…환율 1470원대로 레벨 업[외환브리핑].. 파생인닷컴 2025-01-13 262
1663 강달러 부담 속 中위안화 약세 방어…1450원대로 무거워질.. 파생인닷컴 2025-01-10 270
1662 美 Fed 위원들 "금리인하 신중해야"…올해 1회 인하 가.. 파생인닷컴 2025-01-10 275
1661 美예외주의 VS 국민연금 환헤지…환율 1450원대 공방[외.. 파생인닷컴 2025-01-08 311
1660 엔비디아 실망감·인플레 우려에 하락…나스닥 1.9%↓ [뉴.. 파생인닷컴 2025-01-08 308
1659 약달러에도 굳건한 亞통화 약세…환율 1460원대 지지력[외.. 파생인닷컴 2025-01-07 212
1658 "AI 랠리 계속된다" 폭스콘 호실적에 상승…엔비디아 최고.. 파생인닷컴 2025-01-07 182
1657 새해에도 꺾이지 않는 ‘강달러’ 위용…환율 1470원대로 .. 파생인닷컴 2025-01-03 251
1656 새해 첫날에도 하락…테슬라, 차량 판매량 '쇼크'에 6%↓.. 파생인닷컴 2025-01-03 210
1655 새해 첫 거래도 약세 마감… '산타랠리' 실종 [데일리국제.. 파생인닷컴 2025-01-03 185
1654 연말까지 지속되는 정국 불안과 강달러…환율 1460원대 진.. 파생인닷컴 2024-12-26 267
1653 “올해 美 개미가 가장 많이 산 종목은 테슬라 아닌 엔비디.. 파생인닷컴 2024-12-26 279
1652 한산한 연말 속 수급 공방…환율 1440원대 고점 다지기[.. 파생인닷컴 2024-12-23 316
1651 美 증시, 이번 주 '산타랠리' 올까…비관론 고개 파생인닷컴 2024-12-23 250
1650 美 연준발 여진 지속되나…환율 1440대 후반 등락 예상[.. 파생인닷컴 2024-12-20 304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