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0년 05월07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0-05-07 [00:05] count : 180
미 증시 변화 요인: 종목별 차별화 지속

미 증시는 경제 재개에 대한 기대 속 상승 출발 했으나, 고용 지표 부진과 미-중 무역분쟁 우려 여파로 하락 전환. 이후 대형 기술주가 개별 호재성 재료와 코로나 이후 실적에 대한 기대로 강세를 보이자 나스닥이 상승하는 등 종목 장세를 보인 점이 특징. 이런 가운데 장 마감 직전 IT 버블 이후 이익 대비 가장 높은 수준에서 거래 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매물 출회되며 상승분 반납(다우 -0.91%, 나스닥 +0.51%, S&P500 -0.70%, 러셀 2000 -0.82%)

4 월 ADP 민간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 고용자수는 2,023 만 6 천건이 감소해 사상 최악의 결과를 내놓음. 특히 서비스업이 1,600 만 7 천건이 감소했는데 레저 및 호텔업종이 860.7 만건, 무역, 운송 등이 344 만명, 교육, 보건이 97.1 만건 감소해 전체적으로 경제 셧다운에 의한 결과가 극명하게 피해를 입힌 업종의 고용 감소폭이 컸음. 이러한 고용 결과를 감안 경제 재개가 확대 되고 소비가 증가하면 서비스 부문 회복이 단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최악의 상황으로의 확산은 제한. 실제 오늘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경제가 3 분기 전환 분기가 될 것이며 올해 말에 실업률은 한 자리수로 떨어질 것” 이라고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

이런 가운데 금융주는 S&P 가 코로나로 인해 부동산 및 소비자 대출에 노출이 많은 13 개 미국은행들에 대한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하는 등 신용 리스크가 유입되며 매물이 지속. 반면, 기술주는 코로나로 인한 클라우드 서비스 급증 등에 힘입어 상승하는 등 차별화가 이어짐. 특히 대규모 유동성과 경제 재개 기대, 낮은 금리를 빌미로 한 주식투자 등이 이어지고 있어 기술주에 대한 쏠림 현상을 보이며 나스닥 강세가 컸음. 그러나 장 마감 앞두고 전일에 이어 오늘도 매물이 급격하게 유입되었음. 미 증시가 IT 버블 이후 어느 시점 보다 기업이익 대비 높은 가격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온데 따른 것으로 추정(S&P500 12m Fwd PER 22 배, 10y 평균 15 배)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18 2022년 09월2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26 280
1117 2022년 09월2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22 305
1116 2022년 09월2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22 236
1115 2022년 09월2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20 287
1114 2022년 09월2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19 282
1113 2022년 09월1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16 323
1112 2022년 09월1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15 414
1111 2022년 09월1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14 277
1110 2022년 09월0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8 338
1109 2022년 09월0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7 249
1108 2022년 09월07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7 232
1107 2022년 09월0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7 209
1106 2022년 09월06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7 205
1105 2022년 09월0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5 200
1104 2022년 09월05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2-09-05 169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