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0년 05월13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0-05-13 [00:21] count : 185
미 증시 변화 요인: 여러 발언 및 무역마찰 부각

미 증시는 한국과 중국, 독일에서 코로나 재확산 우려가 완화되자 상승 출발했으나 섣부른 경제 재개에 대한 우려 및 경기 회복 속도의 지연 우려로 하락 전환. 이후 큰 변화 없이 일부 기업들의 개별 이슈 및 연준위원들의 발언에 따라 등락이 진행. 그러나 오후 들어 일부 상원의원의 대 중국 조사 법안 추진 소식으로 미-중 마찰 우려가 높아지자 낙폭 확대(다우 -1.89%, 나스닥 -2.06%, S&P500 -2.05%, 러셀 2000 -3.46%)

장 초반 파우치 미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NIAID) 소장의 상원 증언에 대한 기대와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경제 셧다운이 너무 오래 지속되어서는 안된다” 라고 언급 하자 상승. 그러나 파우치 소장이 기대와 달리“준비 되지 않은 경제 재개로 불필요한 고통과 죽음을 야기 시킬 것” 이라고 경고하는 등 코로나 재 확산 우려를 표명. 더불어 “개발중인 백신 등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라고 언급하자 하락 전환.

한편, 연준위원들도 경제 재개에 대해 우려를 표명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빠른 경제 재개는 혼란을 줄 수 있으며 2021 년 경제도 위협 할 것” 이라고 경고,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도 “바이러스가 멈출 때까지 경제는 회복되지 않을 것이며 아직 최악의 상황은 오지 않았다” 라고 주장. 랜들 퀄스 연준 부의장도 “극도로 높은 실업률이 단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다” 라고 주장하며 경제 재개 및 경기 회복에 대한 우려를 표명

이런 가운데 상원의원 일부가 코로나 19 에 대한 중국의 책임을 조사하고 제재를 가하는 법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미-중 무역 마찰 우려가 부각되며 낙폭을 확대. 최근 미 행정부에서도 중국에 대한 책임을 언급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소식이라는 점을 감안 시장은 부담을 느낌. 특히 오늘 있었던 미국 연금펀드의 중국 주식 매입 금지 절차 돌입에 따른 마찰과 여러 인사들의 경기 회복 지연 우려 발언을 더욱 자극하며 매물 출회 확산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23 2023년 11월 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31 223
1422 2023년 10월 3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30 226
1421 2023년 10월 27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7 151
1420 2023년 10월 2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6 274
1419 2023년 10월 25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5 283
1418 2023년 10월 24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0-24 286
1417 2023년 10월 2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9 287
1416 2023년 10월 1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8 268
1415 2023년 10월 1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7 302
1414 2023년 10월 1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6 333
1413 2023년 10월 1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2 292
1412 2023년 10월 1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1 286
1411 2023년 10월 1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10 282
1410 2023년 10월 06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05 273
1409 2023년 10월 0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04 259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