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파월 발언 앞두고 ‘강달러’…환율 1330원대로 반등 시도[외환브리핑]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3-08-25 [01:02] count : 339

역외 1326.0원…5.5원 상승 출발 전망
美 연준 긴축 경계감에 뉴욕증시 하락
달러인덱스 104 상회, 글로벌 달러 강세
밤 11시께 파월 의장 잭슨홀 연설 나서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추가 하락보다는 반등을 모색할 전망이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앞두고 긴축 경계감이 다시 높아지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벤트 경계감에 뚜렷한 방향성 베팅은 제한될 수 있지만 전일 17원 넘게 폭락한 만큼 상승폭도 되돌림도 커질 수 있다.

사진=AFP

25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26.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1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22.6원) 대비 5.5원 상승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간밤 뉴욕증시는 파월 의장 연설을 앞두고 위험자산 선호가 꺾이며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8% 하락해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35%, 나스닥지수도 1.87% 밀린채 마감했다.

파월 의장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이날 밤 11시 5분 잭슨홀 회의에 참석해 연설에 나서는데, 이 회의에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어떤 의중을 드러내느냐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은 요동칠 수 있다. 시장에서는 파월 의장이 매파적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때문에 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다시 5%를 넘어섰다. 10년물 국채금리도 4bp가량 올라 4.23%까지 상승했다.

글로벌 달러화도 강세다. 달러인덱스는 24일(현지시간) 오후 7시 기준 104.06을 기록하고 있다. 달러인덱스가 104를 넘어선 건 지난 6월 7일 이후 처음이다. 달러·위안 환율은 7.28위안, 달러·엔 환율은 146엔대에 거래되고 있다.

파월 의장의 연설을 앞둔 경계감도 크지만 미국 경제지표가 호조세를 보인 영향도 긴축 경계를 높이는 요인이 됐다.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수는 3주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 19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1만명 줄어든 23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4만명을 밑돌았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7월 전미활동지수도 플러스(+) 0.12를 기록해 3개월 만에 플러스대로 돌아섰다. 지수가 플러스이면 경기가 장기 평균 성장세를 웃돈다는 의미다.

반면 미국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수주는 전달보다 5.2% 줄어 2020년 4월 이후 가장 가파르게 감소했다. 이는 제조업 상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 4.1% 감소보다 더 많이 줄어든 것이다. 내구재 수주는 5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서 고용과 물가지표가 중요한 만큼 투자자들은 내구재 감소보다는 고용지표 호조 등에 주목하며 파월 의장의 연설을 기다리고 있다.

국내 외환시장도 잭슨홀 경계감에 상승으로 되돌림이 예상된다. 전일 17원 넘게 폭락한 만큼 되돌림의 폭도 커질 수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매매 방향도 주목된다. 전날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100억원대, 코스닥 시장에선 3000억원대를 순매수했다. 그러나 파월 의장 연설 경계감에 외국인 투자자들도 순매도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환율 추가 상승을 자극할 전망이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2 예상보다 강한 美 고용…환율 1310원대로 복귀[외환브리핑.. 파생인닷컴 2023-12-11 414
901 [이번주 증시 전망] 코스피 박스권 장세…FOMC·양도세 .. 파생인닷컴 2023-12-11 404
900 구글 등 AI 신제품 기대에 증시 상승…S&P500 0.8.. 파생인닷컴 2023-12-08 377
899 기술주 강세에 3대지수 일제히 '상승'…나스닥 1.37%↑.. 파생인닷컴 2023-12-08 369
898 인플레 둔화보단 경기침체 우려 솔솔…뉴욕증시 하락[월스트리.. 파생인닷컴 2023-12-07 409
897 민간 고용 둔화 속 하락…나스닥 0.6%↓[뉴욕증시 브리핑.. 파생인닷컴 2023-12-07 392
896 10년물 국채금리 4.2% 하회에도…뉴욕증시 보합[월스트리.. 파생인닷컴 2023-12-06 405
895 투자자들 관망모드 속 혼조세…나스닥 0.31%↑ [뉴욕증시.. 파생인닷컴 2023-12-06 325
894 5주간 랠리 부담에 쉬어가기…비트코인 한때 4.2만달러[월.. 파생인닷컴 2023-12-05 328
893 금리인하 기대 과했나…랠리 부담 속 3대지수 하락 [뉴욕증.. 파생인닷컴 2023-12-05 346
892 파월 스윙 한방에 시장 열광…스윙으로 미국 이해하기 [정인.. 파생인닷컴 2023-12-04 334
891 뉴욕증시, 파월 발언 소화하며 S&P500 연고점 [출근전.. 파생인닷컴 2023-12-04 384
890 물가 둔화 속 혼조 마감…다우 1.47%↑ [뉴욕증시 브리.. 파생인닷컴 2023-12-01 333
889 연중 최고치 마감한 다우존스 1.47%↑[데일리국제금융시장.. 파생인닷컴 2023-12-01 305
888 美성장률 상향에도 금리 인하 기대↑[월스트리트in] 파생인닷컴 2023-11-30 334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