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1년 11월09일 해외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1-11-08 [22:52] count : 232
9 일(월) 미국 증시는 개별 악재로 인한 테슬라(-4.9%) 등 일부 성장 및 경기 소비재 업종이 약세를 보였음에도, 약 1 조달러 인프라투자 가결 소식으로 경기민감, 친환경 관련주들 위주로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했으며, S&P500 은 사상 최초로 4,700 선을 돌파(다우 +0.29%, S&P500 +0.09%, 나스닥 +0.07%, 러셀 2000 +0.23%).

업종별로 소재(+1.2%), 에너지(+0.9%), IT(+0.6%) 등이 상승한 반면, 유틸리티(-1.5%), 경기소비재(-1.4%), 필수소비재(-0.9%)이 하락. 에너지 업종은 미국 인프라 하원 통과 소식과 사우디 아람코의 아시아 시장 석유 가격을 인상 소식에 의한 유가 강세에 힘입어 상승했고, 헬스케어는 전거래일 화이자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여파가 진정되면서 반등. 테슬라는 머스크 CEO 의 SNS 주식 처분 설문 여파로 경기소비재(-1.4%) 하락을 견인 이날 파월 의장, 클라리다 부의장, 퀄스 이사과 에반스 총재 등 주요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장중에 있었음. 파월 의장은 통화정책이나 경제 전망 관련 발언을 하지 않았지만,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의 시장 친화적인 발언은 시장 투자심리에 긍정적이었으며 지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 에반스는 테이퍼링은 금리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고, 추가적으로 경제 회복 속도는 놀라운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등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금리 인상을 위한 고용시장과 물가 목표는 2022 년 말까지 달성할 것을 예상한다고 언급. 그 이후 2023~2024 년에는 다른 대부분 위원들과 함께 꾸준한 금리 인상을 전망한다고 언급.

파월 의장은 연준이 개최한 성별과 경제를 주체로 한 컨퍼런스에서 코로나 19 로
인해 여성들이 더 많은 피해를 받았고, 향후 이런 불균형을 해소해야함을 강조하는 등 언급. 퀄스 연준 이사는 12 월 말에 이사직에서 조기 사임할 것을 공식적으로 밝힘.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37 2023년 11월 24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24 132
1436 2023년 11월 23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23 142
1435 2023년 11월 22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22 101
1434 2023년 11월 21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21 293
1433 2023년 11월 17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7 301
1432 2023년 11월 16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6 249
1431 2023년 11월 15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5 166
1430 2023년 11월 14일 해외시장 시황 봉프로 2023-11-14 202
1429 2023년 11월 1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9 212
1428 2023년 11월 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8 285
1427 2023년 11월 8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7 302
1426 2023년 11월 7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6 306
1425 2023년 11월 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2 216
1424 2023년 11월 2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1-01 207
1423 2023년 11월 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23-10-31 206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