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른 상담 신청하기

정보센터
 
일일경제지표 내용
제목 2021년 12월07일 국내시장 시황
글쓴이 파생인닷컴
날짜 2021-12-07 [01:55] count : 208
오미크론 확진자는 전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치명률 등 관련 정보가 충분한 상태는 아니지만, 초기 코로나 혹은 델타 변이 만큼의 심각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위에 있는 모습. 또 백신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과거 코로나 판데믹 초기와 달리, 현재는 인류에게 백신과 치료제가 주어진 상황. 전면 봉쇄조치 시행 가능성도 낮아지고 있는 만큼, 오미크론의 경제 및 증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기존 당사의 전망을 유지.

금주부터 12 월 FOMC 까지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금지되는 블랙아웃 기간에 돌입함에 따라, 연준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구간에 진입. 오미크론 관련 정보들이 하나 둘씩 등장하는 상황 속에서 파월 의장을 포함한 연준 위원들의 의견을 접할 수 없다는 점은 부담 요인. 지난 11 월 FOMC 이후 한동안 테이퍼링 가속화를 대비하고 있었던 대다수 시장참여자들에게는 해당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이 단기적인 정책 혼란을 유발했던 것도 사실(“오미크론으로 경제가 안좋아지는데 연준 긴축은 대형 악재다” 등).

그러나 오미크론이 공급난을 추가적으로 악화시키거나, 경제 및 고용시장 회복세를 저해하지 않는 이상 연준 입장에서는 기존 경로대로 통화정책 변화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즉, 최근 연준의 스탠스는 과도한 매파로 돌변했다고 평가하기 어려우며, 테이퍼링 가속화에 대한 지나친 불안을 경계할 필요.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가 가시화되고 있긴 하나, 인민은행의 50bp 지준율 인하 등 중국 정부에서 이들 그룹의 디폴트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의지가 높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한동안 악재의 중심에 있었던 헝다 그룹 디폴트 우려는 향후 증시에서 재료 소멸 인식으로 받아들 것으로 예상.

금일 한국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호재성 재료에 힘입어 상승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 코스피의 경우 글로벌 증시가 조정을 받았던 최근 4 거래일 동안 연속 상승했다는 점을 감안 시 단기 차익실현 압력은 존재. 다만,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글로벌 주요 IB 들의 긍정적인 시각 변화, 하반기 이후 주요국 증시 대비 지나쳤던 소외 현상 해소 기대감 확대,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전망 등을 고려하면 전기전자 포함 대형주들에 대한 비중 확대는 유효하다고 판단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일일경제지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52 2019년 08월0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8-01 257
251 2019년 08월 01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8-01 260
250 2019년 07월31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31 257
249 2019년 07월 31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31 254
248 2019년 07월 30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30 244
247 2019년 07월 30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30 259
246 2019년 07월29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9 267
245 2019년 07월 29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9 271
244 2019년 07월26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6 301
243 2019년 07월 26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6 308
242 2019년 7월25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5 319
241 2019년 07월 25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5 338
240 2019년 07월 24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4 279
239 2019년 07월 24일 국내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4 291
238 2019년 07월23일 해외시장 시황 파생인닷컴 2019-07-23 282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페이지